껌 기초재료 초산비닐수지에 대하여

건강과 식품

껌 기초재료 초산비닐수지에 대하여

월리만세 2020. 12. 25. 10:32
반응형

 

| 들어가며 : 

 

초산비닐수지라는 물질에 대해서는 용어조차 생소합니다만, 우리가 흔히 씹는 껌의 기초재료로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미 대중화돼서 대부분의 껌은 초산비닐수지로 만든다고 합니다만, 2010년경 어떤 회사가 100% 천연치클을 사용해 만든 껌 '내추럴 치클'을 출시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생산한 껌도 모두 초산비닐수지로 만들었는데 이를 대체한 신상품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광고가 나올정도라면 무언가 이슈가 있었겠죠? 

 

아마도 천연치클이란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껌의 원료인 것 같고, 초산비닐수지는 이것을 화학적으로 합성해서 만든 인공물질인 듯합니다.

 

당시 광고문구 중에 '초산비닐수지 껌을 뱉어라'라는 광고까지 나왔다고 하니 안전성 논란에 불을 붙이는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합니다. 

 

 

1. 초산비닐수지와 껌의 유래

 

전세계적으로 껌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으로 1년에 1인당 약 360개, 우리나라는 약 90개, 중국은 약 45개 정도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우리나라는 껌을 많이 씹지 않는 것 같습니다. 중국은 더 심하네요. 껌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 같은데 문화적인 특성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미국과 껌에 대한 이미지를 생각해 보면, 저는 미국 메이저리그 투수들이 마운드에서 껌을 질겅질겅 씹으며 공을 던지는 장면이 생각납니다. 어릴 때 본 야구 만화책에서 늘 그런 식으로 표현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껌은 AD2세기경 멕시코에 있는 마야문명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마야족 동굴벽화에 기록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마야문명이 사라져서 당시의 제조방법을 알 수 없다고 하니 좀 아쉽습니다. 

 

마야족이 멸명한 이후 껌은 아메리칸 인디언들이 나무의 수액으로 껌과 같은 것을 만들어 씹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그 방법이 전해져 내려온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판매되는 껌의 원조는, 멕시코에서 자라는 사포 달라 나무의 라텍스인 치클을 뜨거운 물에 넣어 부드럽게 한 후 손으로 동글동글하게 만들어서 약국에서 판매한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천연치클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그 사용량이 많아져 1940년대 이후부터 초산비닐수지 등 껌 기초재료에 유화제, 색소, 감미료, 착향료를 첨가하여 제조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해태제과에서 처음 풍선껌을 만든것이 추잉껌의 시초였습니다. 껌 기초재료는 1986년 국산화가 되었는데 적당한 점성과 탄성을 가진 천연 치클과 초산비닐수지가 사용되었고, 그 외에 에스테르검, 플리이소부틸렌 등이 사용되었습니다. 

 

저도 어렸을 때 껌을 많이 씹고 다녔지만, 원료를 보니 사실상 자연상태에서 만들어진 재료는 거의 없네요. 전부 화학물질들로 만들어진 것이었습니다. 껌의 단물을 빨아먹으려고 하루에도 몇 개씩 씹었는데 지금 보니 모두 감미료와 착향료의 맛이었습니다. 

 

 

2. 초산비닐수지의 유해성

 

초산비닐수지는 제조공정 전 단계인 초산비닐이 페인트, 접착제와 같은 성분이며 석유를 원료로 합성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해성 논란이 발생했습니다.

 

초산비닐수지는 초산비닐을 중합하여 만든 무색, 무미, 무취의 합성고분자물질이며, 껌의 기초재료와 과실 등의 피막제로 사용됩니다. 또한 식품첨가물 이외의 용도로는 접착제, 도료 피막 제품, 잉크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식품첨가물이라면 사람이 먹는 음식에 들어가는 물질인데, 그 용도가 접착제라든가 도료피막이라든가 하는 공업용 용도로도 함께 사용되다니 좀 이상하긴 합니다. 

 

초산비닐수지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적어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그 전 단계 물질인 초산비닐은 독성이 강하고 발암 가능성이 있습니다.

 

초산비닐의 중합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 초산비닐수지에 초산비닐 성분이 잔류할 가능성이 있어 초산비닐수지의 안전성에 문제가 되었던 것입니다. 

 

초산비닐은 국제암연구소의 2군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식약청에서는 초산비닐수지의 초산비닐 잔류량을 5ppm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정작 초산비닐수지는 한국, 미국, 일본, 유럽에서 껌의 기초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허용받은 안전한 식품 첨가물입니다

 

그리고, 껌의 성분표시를 보면, 껌 재료의 원료에 대한 별도의 표시가 없이 '껌베이스'라고만 표시되어 있는데, 좀 더 정확한 식품 첨가물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3. 우리의 판단

 

이제 초산비닐수지가 무엇인고 어떤 점이 유해한 지 알게 되었습니다.

 

초산비닐수지는 석유에서 추출된 화합물인데, 초산비닐수지 자체에는 건강상 큰 문제가 없지만, 초산비닐수지를 만드는 기초원료인 초산비닐은 독성이 매우 강해서 제대로 제조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잔류물질이 남으면 위험하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초산비닐은 2급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있다고 하니 잔류물질을 사람이 먹으면 안 좋겠죠. 

 

식약청에서도 이 부분이 걱정되니까 사용량을 제한하고 있는 것인데,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소량으로 섭취하면 미미하니까 건강에 큰 문제가 없다고 해석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발암물질이 몸에 쌓여간다면 오랜 시간이 지나 몸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까 합니다. 노후에 발생하는 모든 질병의 원인은 다 원인이 있는 것입니다. 

 

젊어서 술, 담배, 몸에 해로운 것을 많이 섭취할수록 몸의 장기에는 좋지 않는 물질이 아주 조금씩 쌓이면서 시간이 지나 사람이 늙으면 그제야 몸속의 장기를 못쓰게 만드니까요. 

 

지금 시대에 중요한 것은 오래사는 것이 아닙니다. 건강하게 오래 살지 못하면 의미가 없습니다. 사람의 몸은 인과관계가 철저하게 지켜지기 때문에 몸에 해로운 것은 가능하면 입으로 집어넣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리하며, 

 

주변에서 장수하시는 분들을 많이 봅니다. 제 옆자리에 앉은 직원의 할머니께서도 109세까지 사셨고, 지금 70대 후반이신 부모님과 장인, 장모님께서는 모두 너무 건강해서 제가 연말정산할 때 네 분의 의료비를 모두 더해도 40만 원이 채 안 나옵니다. 

 

이 상태로는 제가 늙었을 때는 정말 거의 100세가 평균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 시대에 살게 될 것이 눈에 보이는데 골골거리면서 병에 시달리며 살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첨가물이 얼마나 건강에 영향을 줄 지 모르지만, 굳이 나쁘다고 언급이 되어 있는데 억지로 찾아서 먹는 것도 이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늘 건강 조심하여 다들 건강하게 100세를 맞이하지기를 바랍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스타  팔로우 부탁해용. ^^  방문하기 
즉시 맞팔해 드릴께요. plz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벌레로 만든 코치닐 색소에 대해
인공감미료 아세설팜칼륨과 수크랄로즈
인산염의 안전성에 대하여
스테비오사이드에 대하여
뉴슈가 사카린의 안전성에 대하여
소포제와 소포제의 종류
안식향산나트륨과 이산화황에 대한 분석
우리나라에서 허용한 식용색소에 대해
소르빈산이 위험하지 않은 이유
카페인 부작용과 카페인 중독의 위험성
차아염소산나트륨의 강력한 살균력
안전하고 다재다능한 베이킹소다
아스파탐의 유해성 논란 총정리
안전한 조미료로 변신한 MSG
정제염이 정말 몸에 나쁠까요?
발암성 물질로 변하는 아질산나트륨
인체에 해롭지 않은 첨가물 구연산
카제인나트륨, 인체에 해롭지 않습니다.
콜라 캐러멜 색소에 발암물질 논란

당뇨병이 있다면 액상과당 조심
겔화제가 들어있는 곤약젤리

 

반응형